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

노자의 도덕경 8장에 나오는 상선약수(上善若水)란 말을 풀어보면,

上은 위라는, 善은 착하다는 뜻. ⇒ 가장 위에 있는 善은 가장 위대한 선.

若은 ~와 같다는 의미. 若水라 하면 물과 같다 뜻,

이상의 내용을 합치면 상선약수上善若水는 가장 위대한 善은 물과 같다

라는 말이 된다. ⇒노자는 왜 가장 위대한 선을 물에 비유(比喩)하였을까?

 

물은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첫째, 물은 공평(公平)함을 나타낸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물은 조금만 상하의 차가 있어도 반드시 아래로 흘러 수평을 유지한다.

수평(水平)은 곧 공평이다. (均衡)을 유지 한다

 

둘째, 물은 완전(完全)을 나타낸다.

물은 아래로 흐를 때 아주 작은 구덩이가 있어도 완전하게 채우면서 흘러간다.

그러므로 물이 수평을 이룰 때 그것은 완전한 수평이다.

 

셋째, 물은 상황에 따라 한없이 변하면서도 본질(本質)을 잃지 않는다.

물이 네모난 그릇에 넣으면 네모로 변하며, 둥근 그릇에 담으면 둥글게 변한다.

그러나 그러한 물은 언제나 본래(本來)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넷째, 물은 겸손(謙遜)하다.

물은 가장 중요한 생명(生命)의 근원(根源)이지만, 언제나 아래로 흐르며

낮게 있는 모든 곳을 적셔준다.

 

아마도 노자(老子)는 물과 같은 삶을 추구(追求)한 것 같다.

그러므로 상선약수上善若水 가장 위대한 선이 물과 같다고 했을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며

우리에게 한없이 아래로 내려가는 삶,

아무리 작은 구덩이라도 메워가는 삶,

그래서 물과 같은 그런 삶의 의미(意味)는 무엇일까?

자가 세상을 물처럼 살아야 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원칙(原則)이라 풀고 있다.

 

첫째, 남과 다투거나 경쟁(競爭)하지 않는다는 부쟁(不爭)의 원칙이다.

언뜻 보면 소극적인 삶의 방식인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특별(特別)한 의미가 있다.

물은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과 다투려 하지 않는다.

물은 내가 길러주었다고 일일이 말하지 않는다.

그저 길러주기만 할 뿐, 내가 한 일에 대하여 그 공을 남과 다투지 않는다.

 

자식을 키워놓고, 남에게 좋은 일을 하고,

그 행위(行爲)에 대해 나를 알아달라 집착(執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둘째, 모든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겸손(謙遜)의 철학(哲學)이다.

물은 낮은 곳으로 任(임)하기에 소(沼)가 되고, 천(川)되고, 江(강)이 되고 바다가 된다.

노자는 물처럼 다투지 말고, 겸손히 살라 하면서 물의 정신(精神)을 詩(시)처럼 읊고 있다.

 

거선지 居善地 : 물은 낮은 곳으로 임한다,

심선연 心善淵 : 물은 연못처럼 깊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여선인 與善仁 : 물은 아낌없이 누구에게나 은혜를 베푼다.

언선신 言善信 : 물은 신뢰를 잃지 않는다.

정선치 正善治 : 물은 세상을 깨끗하게 해 준다.

사선능 事善能 : 물은 놀라운 능력을 발휘한다.

동선시 動善時 : 물은 얼 때와 녹을 때를 안다.

 

물처럼 산다는 것은

어쩌면 세상의 변화와 한 호흡으로 사는 자연스런 인생의 한 방법인듯 하다.

상선약수上善若水에 대한 또 다른 글을 보자

 

첫째, 유연함이다. 물은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다.

자기를 규정하지 않기에 어떤 상대도 받아들인다.

 

둘째, 겸손함이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그 공로를 다투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싫어하는 곳까지 즐거이 임하기에 도달하지 못하는 곳이 없다.

 

셋째, 기다림이다. 물은 흐를 줄을 알기에 멈추어 설 줄도 안다. 웅덩이를 만나면

그곳을 채울 때까지 조용히 기다린다.

 

넷째, 여유이다. 물은 바위를 뚫을 힘을 가졌으나, 뚫으려 하지 않고 유유히 돌아간다.

 

다섯째, 새로움이다. 살아 있는 물은 멈추지 않고 늘 흐른다.

그러기에 언제나 새롭다. 또한 늘 깨끗하고 한결같다.

※ 아! 나는 과연(果然) 세상을 물과 같이 살수는 없을까? 아! 그렇게 살고 싶다.

 

물처럼 사는 것(若水)이라는 뜻이다.

여류작가 박경리와 박완서의 노년관(老年觀)이기도 하다. 

 

 

소설가 박경리(1926 ~ 2008)씨는 운명하기 몇 달 전 이렇게 말했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다음은 노년의 박완서(1933 ~ 2011)씨가 썼던 글이다.

"나이가 드니 마음 놓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 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어 좋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하고 싶다고 말 할 수 있는 자유가 얼마나 좋은데

젊음과 바꾸겠는가?

. . .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


난 살아오면서 볼 꼴, 못 볼 꼴 충분히 봤다.
한 번 본 거 두 번 보고 싶지 않다.

 

한 겹 두 겹 어떤 책임을 벗고

점점 가벼워지는 느낌을 음미하면서 살아가고 싶다.


소설도 써지면 쓰겠지만 안 써져도 그만이다."

두 분은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여류소설가였다.


그러면서도 조용한 시골집에서 행복하게 삶을 마감했던 분들이다.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사셨던 분들이다.

 

가장 아름다운 인생(上善)은 물처럼
사는 것(若水)이라는 뜻이다.

물처럼 살다가 물처럼 가는 것이 인생이라면

이처럼 인간의 삶을 진지하게 표현하는 말도 없을 듯 싶다.

 

위의 두 분은 물처럼 살다 간 대표적인 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흐르는 물처럼 남과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는 부쟁(不爭)의 삶을 보여주었고,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에게 과시하려 하거나 결코 다투려 하지 않는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초연한 삶을 사셨다.

 

그래서 두 분의 삶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자유로움이었다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처럼 부딪치는 모든 것들을 배우고 만나는 모든 것들과 소통하며

끊임없이 장강(長江)의 글을 쓰면서 그 글 속에서 인생과 사랑을 말했다.

 

말년의 두 분은 노년의 아름다움을 온 몸으로 보여 주었다.

후배들에게 이렇게 나이 먹어야 한다고 아무 말 없이 조용한 몸짓으로 표현했다.

 

박경리씨는 원주의 산골에서

박완서씨는 구리의 어느 시골 동네에서
흙을 파고 나무를 가꾸면서 빛나는 노년의 침묵을 가르쳐 주었다.

 

노년의 행복이 무엇인지 온몸으로 말했다.

천천히 걸어도 빨리 달려도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오직 한 세상 뿐이다.

 

더러는 조금 짧게 살다가,
더러는 조금 길게 살다가

우리는 가야 할 곳으로 떠나간다.

 

두 분의 삶을 바라보면

이 소중한 시간을 이해하면서 살라고, 배려하면서 살라고

고개를 끄덕이며 말하는 것 같다.

 

우리에게 주어진 둘도 없는 삶을 지난 날을 돌이키며 후회하기 보다는

남은 날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에 희망과 행복을 찾아 보자고

다독여 주는 것 같다.


두 분에게서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배운다.

보이지 않는 바람에게조차 고마움을 느끼는 일상,

조그만 일에도 끊임없이 감사함을 느끼는 노년,

그렇게 넉넉한 마음의 행복을 제대로 배워보고싶다.

 

화살표TOP